나의 길

git&github를 알아보자. 본문

git&github

git&github를 알아보자.

MoonjuLee 2023. 1. 27. 12:46

학원을 다니며 백업과 버전관리 용도로 쓴 git&github를 이해하기 위해 글을 씁니다!

 

git은 개발자들이 소스 코드를 백업, 버전관리 그리고 협업을 위해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물론 개발자가 아닌 사람들도 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문서작업을 위해 사용 가능!)

여기서 좀 헷갈리는 것이 git은 자동차로 비유하자면 자동차 그 자체(제품)이고, github는 자동차의 제품 중 

소나타, 아반떼 등(제품군) 입니다.

따라서 github뿐만 아니라 sourcetree, Gitkraken 등 많은 git 클라이언트 프로그램들이 존재합니다.

 

저는 친구의 추천으로 CLI(Command Line interface)로 사용하였습니다.

(리눅스 기반 명령어이기 때문에 명령어도 익히라고!)

그래서 앞으로의 실습도 그렇게 진행하겠습니다!

 

윈도우에 git을 설치하면 git bash라는 git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함께 설치되어 사용하였습니다.

(첨언하자면 git bash는 윈도우에서 리눅스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git bash를 처음 사용하면 명령어에 익숙해져야 합니다.

그래서 간단한 명령어를 저도 복습할 겸 알아보겠습니다.

git bash

(윈도우의 폴더는 디렉토리와 똑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 : 이 물결표시는 현재 홈 디렉토리에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wd(print working directory) : 현재 위치의 경로를 나타냅니다.

 

ls(list) : 현재 위치의 파일과 폴더를 나타내 줍니다.

(ls 뒤에 -al 등 옵션을 부여하면 l은 상세 정보, a는 숨긴 파일이나 디렉토리가 표시됩니다.)

 

cd(change directory) : cd (디렉토리 명)으로 명령어를 입력하면 해당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여기서 디렉토리 명은 ls로 확인된 디렉토리만 가능합니다!!!, 상위 디렉토리는 디렉토리 명에 '..' 을 입력하면 된다.)

(그리고 디렉토리 명을 다 입력하기 불편하다... 디렉토리 명의 일부를 입력하고 tab 키를 누르면 자동완성 된다!)

 

mkdir(make directory) : mkdir (새로 만들 디렉토리 명) 명령어를 입력하면 디렉토리가 생성됩니다.

 

rm(remove) : rm -r (삭제할 디렉토리 명) 명령어를 입력하면 해당 디렉토리와 하위의 항목들이 삭제됩니다.

(그냥 rm 명령어는 디렉토리를 삭제할 수 없다. -r 옵션을 붙여야 디렉토리 삭제가능 -> recursive 재귀적으로의 뜻으로 폴더 내의 하위폴더도 모두 적용시키는 옵션)

 

mv(move) : mv (원본 디렉토리 명) (새로 지을 디렉토리 명) 명령어를 입력하면 디렉토리의 이름을 바꿀 수 있다.

(mv 명령어는 원래 이동을 위한 명령어이기 때문에 경로를 입력하고 이동하며 이름도 바꿀 수 있다.)

(여러 개의 이름을 바꿀 경우에는 rename이라는 명령어 사용 가능!)

 

이번에는 간단하게 프로그래밍에 CRUD처럼 디렉토리나 파일을 git bash에서 CRUD하는 법을 배웠습니다.

공부하면서 리눅스에는 정말 많은 명령어와 윈도우의 기능들을 터미널에서 다 실행할 수 있다고 느꼈고

시간이 되면 리눅스를 배워 봐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다음에는 git의 버전관리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git&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actions 알아보기  (0) 2023.09.23
git 브랜치(branch)  (3) 2023.02.23
git 버전 관리  (2) 2023.02.07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