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DB (4)
나의 길

데이터베이스 정규화란? 데이터 구조를 최적화하여 데이터의 중복을 최소화하기 위한 프로세스 정규화의 장점이상 현상 방지(삽입 이상, 갱신 이상, 삭제 이상)유지 보수의 용이(변경과 확장)성능 향상(쿼리) 및 비용 감소(효율적인 저장)💬 이상 현상삽입 이상 : 정규화 되지 않은 테이블에 데이터를 삽입하기 불필요한 데이터를 삽입해야되는 경우.갱신 이상 : 동일한 값이 여러 곳에 저장되어 있어 모든 값이 갱신되지 않아 데이터의 불일치가 발생하는 경우.삭제 이상 : 특정 데이터를 삭제하면 원하지 않는 다른 데이터도 함께 삭제되는 경우. 정규화 단계 제 1정규화(1NF : First Normal Form)- 테이블의 속성 값이 원자값을 가져야한다. 회원이름구매 상품호두육포나무츄르럭키육포, 츄르킹츄르, 캣닙- 회원..
H2 DB란? 자바로 작성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다. 특징은 작은 설치 공간(2.5MB)을 차지하고, 서버 모드, 임베디드 모드, 혼합모드를 지원한다. 실행 모드? 서버 모드 : 직접 서버를 설치하여(H2 다운로드) 애플리케이션이 JDBC 또는 ODBC를 사용하여 연결. TCP/IP를 통해 전송된다. 임베디드보다 속도가 느림. 임베디드 모드 : 애플리케이션이 JDBC를 사용하여 동일한 JVM 내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실행. 가장 빠르고 쉬운 모드. 혼합 모드 : 서버 모드와 임베디드 모드를 결합한 것. 자세한 설명은 공식문서를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사용법 1. Gradle 의존성 라이브러리 추가 dependencies { runtimeOnly 'com.h2database:h2:' } 2..
DB맛보기 데이터 : 수단을 통해 수집한 사실이나 값 정보 : 데이터를 가공하여 유의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 메타데이터 : 데이터의 데이터를 의미 ex) 고객번호는 숫자로 적힌다면 숫자라는 유형이 메타데이터 큰 틀에서 DB는 데이터를 가공하여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을 배운다고 생각한다. DB의 특징 원칙적으로 중복이 되지 않는 통합된 데이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장치에 저장된 데이터 기능 수행을 위한 저장된 운영 데이터 공동으로 소유하며 유지하는 공용 데이터 관계형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RDBMS) 구성 요소 릴레이션(relation) 속성(attribute) 도메인(domain) 관계연산자 등 특성 논리데이터 독립성 참조 무결성과 데이터 독립성 특수쿼리 등 파일 관리 시스템 vs 데이터베이스 관리 ..
내가 공부한 것을 기록하며 복습하기(ORACLE)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 구조화된 질의 언어 , 데이터를 조회, 수정, 갱신, 삭제 등을 할 수 있는 명령어 SQL문 정리 DDL (Data Definition Language) : 데이터 정의어, 데이터 베이스를 정의하는 언어 (create 생성, alter 수정, drop 삭제, truncate 초기화) 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 : 데이터 조작어, 정의된 데이터 베이스를 조작하는 언어 (select 조회, insert 삽입, update 수정, delete 삭제) DCL (Data Control Language) : 데이터 제어어, 데이터의 보안, 권리 권한 부여 등을 하는 언어 (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