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S(Computer Science)/짧은 컴퓨터 지식 (2)
나의 길

컴퓨터 - 크게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로 나뉜다. - 그중 하드웨어는 또, 중앙처리장치(CPU), 기억장치(주기억장치 : RAM, 보조기억장치 : HDD), 입출력장치(모니터, 키보드)로 나뉜다. - 또 CPU는 ALU(산술논리연산장치), CU(제어장치), 레지스터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 연산과정(매우 간단히...) 1. 주기억장치가 입력장치에서 입력된 데이터나 보조기억장치의 데이터를 가져온다. 2. CPU(ALU : 연산장치)가 연산을 하기 전 레지스터에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고 이 저장된 값을 통해 연산을 한다. 3. 연산이 완료되면 마찬가지로 레지스터에 결과를 저장한다. 4. 레지스터에 저장된 것을 주기억장치로 옮긴다. 5. 이후 주기억장치는 상황에 따라 보조기억장치로 결과를 옮기거나 출력장치로..

bit - 신호를 나타내는 최소단위, 전기 스위치 하나 - 전기가 흐르면 1, 전기가 흐르지 않으면 0 - 이렇게 0과 1로 나타내야 하기 때문에 2진법을 사용한다.(디지털 신호) (확장 지식) - 4bit는?, 전기 스위치 4개라고 말할 수 있다. 4개의 전기 스위치로 만들 수 있는 경우의 수는 2의 4제곱 즉, 16이다. - 전기 스위치 4개 중 가운데 2개가 켜져 있다면? 0110 즉, 10진수로 6이다. 2진수와 16진수 - 위에서 말한 bit, 2진수로 디지털 정보를 표현할 수 있지만 보통 16진수로 나타낸다.(ex : 메모리 값, 주소, rgb)(이 의미를 모르고 나는 진수변환을 했던 적이 있다...) - 16진수(0~F)에서 10진수 10은 A이다. 그럼 10진수의 15는? F이다. - 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