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S (3)
나의 길

컴퓨터 - 크게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로 나뉜다. - 그중 하드웨어는 또, 중앙처리장치(CPU), 기억장치(주기억장치 : RAM, 보조기억장치 : HDD), 입출력장치(모니터, 키보드)로 나뉜다. - 또 CPU는 ALU(산술논리연산장치), CU(제어장치), 레지스터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 연산과정(매우 간단히...) 1. 주기억장치가 입력장치에서 입력된 데이터나 보조기억장치의 데이터를 가져온다. 2. CPU(ALU : 연산장치)가 연산을 하기 전 레지스터에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고 이 저장된 값을 통해 연산을 한다. 3. 연산이 완료되면 마찬가지로 레지스터에 결과를 저장한다. 4. 레지스터에 저장된 것을 주기억장치로 옮긴다. 5. 이후 주기억장치는 상황에 따라 보조기억장치로 결과를 옮기거나 출력장치로..

이전 포스팅에 이어 네트워크의 Application(App) 계층과 Transport(Tr) 계층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App 계층에서의 전송단위는 message이고, Tr 계층에서의 전송 단위는 segment입니다. Tr 계층에서는 TCP, UDP와 상관없이 multiplexing과 demultiplexing을 지원합니다. multiplexing은 App 계층에서 많은 Process들이 message를 내려보내주면 Tr 계층의 전송단위인 segment로 만들어 주는 것을 말합니다. 반대로 demultiplexing은 receiver가 segment를 받아 message를 받아야 하는 process(socket)들에게 알맞게 보내주는 것을 말합니다. demultiplexing을 할 때 알맞은 sock..

개발을 하며 말 그대로 컴퓨터에 대한 지식이 부족했지만 부끄럽게도 나중에 본다는 생각으로 접어 놓은 것들이 많습니다. 시간적으로 여유가 있지는 않지만 이제는 하지 않으면 영원히 하지 않을 것 같은 생각이 들어 조금씩 시간을 할애하여 공부를 해보려 합니다. (유튜브에서 시청한 2022 인프콘에서 영한님이 목표와 시스템을 만들며 살아간다고 얘기해 주신 게 맘에 와닿아서 실천!) 이 글에서는 저처럼 아예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 지식을 정리해 보겠습니다.(나에게 필요한 것 위주!,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글을 구성하다 보니 부족한 설명과 틀린 부분이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위의 그림은 네트워크의 구성입니다. 네트워크는 매우 간단하게 라우터끼리의 연결(network core)과 라우터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