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길

10845번 큐(java) 본문

알고리즘/백준

10845번 큐(java)

MoonjuLee 2024. 11. 22. 22:42

 

 이 문제는 Queue의 개념과 java에서 Queue를 구현하고 있는 클래스들을 간단하게 다뤄보기 좋은 문제인 것 같습니다.(당연히 자신이 구현한 Queue로도 풀이가 가능합니다!)

 

예제 이해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Queue를 구현하고 있는 클래스들(ArrayDeque, LinkedLIst, PriorityQueue) 중 LinkedList를 사용했습니다. 해당 클래스의 메소드들을 알고 있다면 간단하게 풀이가 가능합니다. 풀이할 때 집중한 것은 분기가 많으니 최대한 코드가 지저분해지지 않도록 노력했습니다!

 

구현 코드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BufferedWrit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io.OutputStreamWriter;
import java.util.LinkedList;
import java.util.Queue;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private static Queue<Integer> queue = new LinkedList<>();
    private static int lastInt = 0;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BufferedWriter bw = new BufferedWriter(new OutputStreamWriter(System.out));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for (int i = 0; i < N; i++) {
            String str = br.readLine();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str, " ");
            String cmd = st.nextToken();

            switch (cmd) {
                case "push":
                    push(Integer.parseInt(st.nextToken()));
                    break;
                case "pop":
                    bw.write(pop() + "\n");
                    break;
                case "size":
                    bw.write(size() + "\n");
                    break;
                case "empty":
                    bw.write(empty() + "\n");
                    break;
                case "front":
                    bw.write(front() + "\n");
                    break;
                case "back":
                    bw.write(back() + "\n");
                    break;
            }
        }

        br.close();
        bw.flush();
        bw.close();
    }

    private static int back() {
        if (queue.isEmpty()){
            return -1;
        }
        return lastInt;
    }

    private static int front() {
        if (queue.isEmpty()){
            return -1;
        }
        return queue.peek();
    }

    private static int empty() {
        if (queue.isEmpty()){
            return 1;
        }
        return 0;
    }

    private static int size() {
        return queue.size();
    }

    private static int pop() {
        if (queue.isEmpty()){
            return -1;
        }
        return queue.poll();
    }

    private static void push(int num) {
        queue.add(num);
        lastInt = num;
    }
}

 

느낀 점

 

 그리 어려운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코드의 유지보수를 생각하며 작성했는데 막상 풀이를 보니 잘 작성했는지 의문이 듭니다. 하지만 이런 고민을 해보는 좋은 문제였다고 생각합니다.

'알고리즘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06번 에디터(java)  (1) 2024.11.20
1874번 스택 수열(java)  (3) 2024.11.15
9093번 단어 뒤집기(java)  (1) 2024.09.06
2444번 별 찍기 - 7(java)  (0) 2024.08.31
1546번 평균(java)  (0) 2023.12.04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