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46)
나의 길
DB맛보기 데이터 : 수단을 통해 수집한 사실이나 값 정보 : 데이터를 가공하여 유의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 메타데이터 : 데이터의 데이터를 의미 ex) 고객번호는 숫자로 적힌다면 숫자라는 유형이 메타데이터 큰 틀에서 DB는 데이터를 가공하여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을 배운다고 생각한다. DB의 특징 원칙적으로 중복이 되지 않는 통합된 데이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장치에 저장된 데이터 기능 수행을 위한 저장된 운영 데이터 공동으로 소유하며 유지하는 공용 데이터 관계형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RDBMS) 구성 요소 릴레이션(relation) 속성(attribute) 도메인(domain) 관계연산자 등 특성 논리데이터 독립성 참조 무결성과 데이터 독립성 특수쿼리 등 파일 관리 시스템 vs 데이터베이스 관리 ..
변수는 메모리에 특정 번지를 붙이는 이름. 프로그램이 변수를 통해 메모리의 특정 번지에 값을 저장하고 읽을 수 있습니다. 메모리의 어디에 저장되는지는 JVM(자바가상머신)이 설정합니다. 하나의 변수에는 하나의 값만 저장할 수 있습니다. 변수 선언 int age; 정수를 저장할 수 있는 age 변수 선언 (int는 타입이고, age는 변수이름이다.) 변수 이름 규칙 첫 번째 글자는 문자이거나 '$', '_' 이어야 하고 숫자로 시작 불가 영어는 대소문자를 구분 카멜표기법 ex) helloJava 문자 수(길이) 제한 없음 자바는 예약어를 사용할 수 없음 값 저장 age = 28; int age = 28; 선언된 코드에 변수이름을 이용하여 값을 저장할 수 있고, 밑에 처럼 변수를 선언과 동시에 저장할 수 있..

자바를 처음 시작하며 설치해야 하는 프로그램과 설정을 해보자. JAVA 설치 과정 자바를 설치하기 전 JDK와 JRE를 알고 가는 것이 좋다. JDK(Java Development Kit)는 자바로 개발을 하기 위한 키트를 말하고 자바 컴파일러(Java c), JRE, 라이브러리 등이 포함되어있다. JRE(Java Runtime Environment)는 자바 실행환경이다. 첨언하자면 실행만을 위해서는 JRE만 설치해도 되지만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면 JDK를 설치하는 것을 권한다. ↓밑의 링크는 JDK 1.8 202 버전이다. (본인의 운영체제에 맞춰 다운 받으시오.) https://www.oracle.com/kr/java/technologies/javase/javase8-archive-downloads...
내가 공부한 것을 기록하며 복습하기(ORACLE)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 구조화된 질의 언어 , 데이터를 조회, 수정, 갱신, 삭제 등을 할 수 있는 명령어 SQL문 정리 DDL (Data Definition Language) : 데이터 정의어, 데이터 베이스를 정의하는 언어 (create 생성, alter 수정, drop 삭제, truncate 초기화) 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 : 데이터 조작어, 정의된 데이터 베이스를 조작하는 언어 (select 조회, insert 삽입, update 수정, delete 삭제) DCL (Data Control Language) : 데이터 제어어, 데이터의 보안, 권리 권한 부여 등을 하는 언어 (g..
작년에 7기에 지원해서 낙방한 적이 있다. 준비를 따로 하지 않았고 막연히 주말에 시험이고 에세이도 필기를 보고 제출하고 4년제 대학교 지식수준에서 나온다고 명시되어있어서 지원하고 응시했었다. 그때 처음으로 CT(computational thinking)를 접했다. 수리/추리 논리 능력은 약간 익숙한 문제들이었다. 공부를 하지 않아서 물론 낙방했다. 이번 8기에 지원을 했고, 이번에는 시중의 문제집을 하나 풀고 SW적성진단에 임했다. 하지만 오히려 준비하지 않았을 때 보다 내 느낌상 더 정답률이 낮다고 느껴진다. 싸피 방침상 문제를 유출하면 안 된다고 하는 것 같아 자세히는 말하지 못하지만 어느 정도 수학이나 논리력이 있으면 푸는데 어려움은 없는 것 같다. 하지만 경쟁률이나 절실하신 분들이 많은 것 같아..
내가 요즘 관심이 있는 IT에 어떤 직무들이 있는지 알고 싶어서 처음으로 블로그에 포스팅해 본다. 지금 내가 유튜브와 검색, 지인들의 설명 등을 통해 알고 있는 것을 나만의 방식(??)으로 종합하자면 웹 개발자 (프론트엔드, 백엔드), 앱 개발자, 데이터 관련 개발자, 게임 개발자, AI개발자, 임베디드 개발자, 보안 개발자등 정말 세분화 되어있다. 그러면 각각의 분야를 천천~히 알아보자. 추후에도 내가 모르는 것들을 새로 알았을 때 그때 그때 업데이트 할 것이다~ (내가 고민한 것은 남들도 할 수 있고 나중에 나도 보고~)